본문 바로가기

#아이교육3

가장의 말은 늦게 도착한다 가장의 말은 늦게 도착한다가끔 그런 생각을 한다. 내가 하는 말이 정말 전달되고 있는 걸까?애들한테 했던 말, 아내한테 툭 던진 말, 당장은 아무 반응도 없고 그냥 지나간 것처럼 보여서“말이 힘이 없는가?” 싶기도 했다.---🕰️ 며칠, 몇 달, 몇 년이 지난 후어느 날 아이가 말했다. “아빠 그때 그런 말 했잖아.” 기억도 잘 안 나는 말이었는데 그 아이는 그걸 마음에 담고 있었더라.그때 알았다. 가장의 말은 바로 도착하진 않지만 분명히 도착하고 있다는 걸.---💬 아내가 조용히 따라 하는 순간“한 번 해볼까?” “이건 내가 해볼게.” 예전엔 내가 하던 말이었는데 이제는 아내가 먼저 그렇게 말하더라.강요한 적 없고, 설득하지도 않았는데 그 말이 오래 돌아, 자기 안에서.. 2025. 3. 24.
아이들은 다 기억하고 있다 아이들은 다 기억하고 있다나는 그냥 툭— 던진 말이었다. 기억도 안 나는 말이었는데 아이 입에서 그 말이 다시 나올 때가 있다.그 순간 알게 된다. 아이들은 다 듣고, 다 기억하고 있었구나.---💬 "그때 아빠가 그랬잖아"몇 달 전인가, 밥 먹다 말고 아이가 이런 말을 꺼냈다. “그때 아빠가 그랬잖아. 지금 힘들어도 나중엔 다 지나간다고.”나는 그 말을 한 기억도 없었다. 근데 아이는 그걸 붙잡고 있었던 거다.그날 이후, 나는 말을 더 조심하게 됐다.---👀 행동도 말처럼 남는다“아빠 왜 매일 쓰레기 버려?” “아빠는 왜 맨날 먼저 일어나?” 아이들은 그냥 물어본 거지만 그 안엔 ‘관찰하고 있었다’는 의미가 있었다.가르친 적 없는데, 보고 있었던 거다.---📌 말보다 오래 .. 2025. 3. 24.
가르치는 건 말이 아니라 행동이다 가르치는 건 말이 아니라 행동이다아이한테 “치워라” “정리해라” 말은 할 수 있지만 그걸 직접 해보이지 않으면 아이도 결국 흘려듣게 된다.그래서 우리 집은 말로 하는 교육보다 살면서 보여주는 교육이 많다.---🧹 쓰레기 정리는 말보다 먼저 손이 간다“쓰레기는 분리해서 버려야 해” 그 한마디보다 내가 직접 나가서 쓰레기를 모으고 시간 맞춰 버리는 걸 보는 게 더 강하다.한동안 아이들은 몰랐지만 어느 날부터는 아무 말 안 해도 따라 하기 시작했다.그때 알았다. 말보다 행동이 먼저였다는 걸.---👕 세탁기 당번, 당번이 아니라 책임감이었다세탁기만 돌리는 거였지만 그걸 꾸준히 맡아서 하는 걸 보면서 아이들도 “자기 역할을 끝까지 해낸다”는 게 무엇인지 자연스럽게 배웠다.한 번 돌리.. 2025. 3. 2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