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감성을 위한 선물

어항 수질 측정, 꼭 알아야 할 항목과 방법 총정리

by 살림하는도시남자 2025. 4. 1.
반응형

어항 수질 측정은 물고기와 새우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관리입니다. pH, 암모니아, 질산염, KH, GH까지 각 항목의 의미와 측정 방법을 쉽고 정확하게 설명합니다.

왜 수질 측정을 해야 하나요?

어항은 작지만 독립적인 생태계입니다. 그 안에는 수초, 어류, 새우, 그리고 수많은 미생물들이 살아가죠. 그런데 이 작은 공간은 수질 변화에 매우 민감합니다. 조금만 pH가 흔들리거나, 암모니아 수치가 올라가도 생물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정기적인 수질 측정은 건강한 어항 유지의 첫걸음입니다.

어항 수질 측정 시 가장 중요한 6가지 항목

항목 측정 기준 의미 / 영향
pH 6.5 ~ 7.5 물의 산도. 수초, 새우, 물고기마다 적정 범위 있음
암모니아 (NH₃/NH₄⁺) 0ppm 배설물, 사료 부패로 발생. 생물에게 매우 독성 있음
아질산염 (NO₂⁻) 0ppm 암모니아가 분해되며 생김. 소량도 위험
질산염 (NO₃⁻) 20ppm 이하 최종 분해물. 고농도 시 물갈이 필요
KH (탄산염경도) 2~6 dKH pH 안정성에 영향을 줌
GH (총경도) 4~8 dGH 칼슘, 마그네슘 함량. 새우 탈피에 중요

측정 방법: 테스트 키트 vs 디지털 측정기

① 수질 테스트 키트 (시험지 or 시약형)

  • 시약형은 정확도 높고, 항목별 색으로 구분
  • 테스트스트립은 간편하지만 정확도는 낮음
  • 주 1~2회 정기적으로 체크 권장

② 디지털 측정기

  • pH, TDS, 온도 측정에 매우 편리
  • 재사용 가능하므로 장기적으로 경제적
  • 사용 전 교정(Calibration) 필수

수질 측정 후 어떻게 관리할까?

수질을 측정한 뒤에는 그 수치를 어떻게 해석하고, 어떤 행동을 해야 할지가 중요합니다.

  • pH가 낮을 때: 물갈이 + 소량의 산성 완충제 사용
  • 암모니아/아질산염 검출: 급한 환수 + 박테리아제 투입
  • 질산염 40ppm 이상: 50% 환수, 먹이량 조절
  • KH, GH가 너무 낮음: 미네랄 블럭 또는 전용 GH+ 첨가

어항 수질 관리 루틴 예시

  1. 매일: 물고기/새우 상태 확인, 온도 체크
  2. 주 1회: 부분 환수 20~30%, 수질 테스트
  3. 월 1회: 필터 세척, 바닥청소, GH/KH 체크

추천 측정 키트/기기 리스트

  • API 5-in-1 테스트 스트립
  • JBL 수질 테스트 시약 세트
  • Xiaomi 디지털 TDS/PH 측정기
  • ADA 브라이트 GH/KH 키트

마무리: 물이 곧 생물의 집입니다

어항 속 물은 단순한 ‘물’이 아니라, 그 안에 사는 생물의 전부입니다. 사람에게는 공기처럼, 물고기와 새우에게는 수질이 생명을 좌우합니다. 단 몇 분 투자해서 수질을 체크하고 관리하는 습관을 들이면, 어항 전체의 건강과 수명을 훨씬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지금 여러분의 어항 물, 괜찮으신가요? 오늘부터 수질 측정 루틴을 시작해보세요.

반응형